💚 곰자 일상/🐧 한때는...

수출 선적일자 조회 방법 알려드림

곰자. 2023. 12. 21.
반응형
  • 선적일자 확인
  • 관세청  유니패스
  • 관세청 통관조회
  • 수출신고필증 선적일자

해외로 수출하는 업종을 하는 사업장은 부가세 신고전 수출내역과 관련해서 확인해야 할 사항이 있는데, 그 중 한 가지가 선적일자이다. 왜 알아야 하냐구?

 

 

 

 

 

그건 바로 수출에 대한 내용을 부가세 신고시 제출해야 할 부속서류에 기재해야 하기 때문인다. 모든 외화수입에 대해서는 부가세 신고시 수출실적명세서라는 서식을 함께 제출해야 하는데, 배에 실어서 해외로 배송하는 경우는 선적일자를 기재해야 한다.

 

몇 년 전 부터 직수출 건에 대해서는 관세청과 국세청이 수출내역을 공유하는지 홈텍스 홈페이지에서 선적일자 조회가 가능해졌다.

 

부가세 신고기간이 되면 홈택스에서 수출실적명세서 조회를 통해 수출신고일자 선적일자, 외화금액, 원화환산금액이 모두 조회가 되어 실무자 입장에서는 아주 편리한 세상이 되었다.

 

홈택스 조회 경로

→ 세금신고

→  부가가치세

→  신고도움자료조회

      (수출실적명세서)

 

홈택스 수출실적명세서

 

 

 

그럼에도 수출신고번호 건별로 선적일자 조회를 해보기를 원한다면 관세청 홈페이지인 유니패스를 들어가면 조회가 가능하다.

 

홈택스 자료는 아직까진 실시간으로 선적일자 조회가 되지 않는 것 같으니까.

 

 

 

수출신고필증으로 선적일 조회

직수출의 경우 수출신고를 완료하면 수출신고필증(예전엔 수출면장이라고 불렀음)을 받게 되는데, 이 수출신고필증에는 수출신고번호라는게 있다.

먼저 관세청 유니패스 홈페이지에서 메뉴를 이동해 조회하는 방법을 살펴보겠다.

관세청 유니패스 홈페이지 상단에 '정보조회'라는 메뉴가 있는데, 이 정보조회를 클릭한 후 통관정보→수출→수출이행내역 순서로 진행한다.

그렇게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수출신고번호를 입력하고 조회를 클릭하면 선적일자, B/L번호, 선적완료여부, 중량등의 내용이 조회된다.

 

 

홈페이지의 메뉴를 이용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유니패스 홈페이지 첫 화면 우측 상단에 아래와 같이 수출이행내역 검색칸에 수출신고번호 또는 B/L번호를 입력하고 조회를 누르면 선적일자가 바로 조회된다.

홈택스에서 조회해 주지 않던 시절 , 나는 아래 화면에서 건별로 선적일자를 조회해서 수출실적명세서를 작성했었다.

예전에 이 방법을 모른채로 기장처에서 선적일자 안알려줘서 신고서 마감을 못하고 있다는 소리를 하는 20년차 세무사사무실 경력자를 본적이 있어 어이없어 했던 기억이 난다.

홈택스 수출 조회 방법

요즘은 굳이 관세청 유니패스에서 건별로 선적일자를 조회하지 않아도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이 되면 홈택스에서 수출내역을 모두 띄워준다.

홈택스에서 수출내역을 조회하는 방법은 홈택스에 사업자용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후 세금신고 →신고도움 자료 조회→수출실적명세서 조회 순서로 진행하면 월별로 수출신고건에 대한 선적일자가 모두 조회되며, 수출신고번호, 선적일자, 외화금액, 원화환산금액까지 모두 조회가 된다.

 

 

만약 선적일자와 관련된 이 글을 보고 있는 분이 신입 세무대리인 이시라면, 홈택스에서 주로 '세무대리' 라는 메뉴를 사용중에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홈택스에서 세무사 등록번호가 들어가는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한 후 첫 화면의 우측 상단 끝에 '세무대리' 메뉴에 마우스를 살짝 올리면 아래처럼 '수출식적명세서 조회'라는 메뉴가 보이니, 여기서 수출신고된 내역의 선적일자가 월 단위로 모두 조회되니 부가세 신고 때 확인하면 될 것이다.

엑셀파일로 생성도 가능하니 가급적 엑셀파일로 다운받아서 더존 프로그램에서 불러와서 업로드 하면 바쁜 부가세 신고기간에 업무가 훨씬 간소화된다.

 

 

 

선적일자 조회 방법

 

 

반응형

 

 

300x250
반응형

댓글